본문 바로가기
코인

모에 셋 작전세력의 패턴 주의

by 모에셋 2025. 2. 11.

작전세력의 펌핑 작전 사례
시세을 인위적으로 조작하여 주가를 급등(펌핑, Pump)시키고,

이후 급락(덤핑, Dump)시키는 방식으로 수익을 챙기는 세력을 의미합니다.

이를 펌프 앤 덤프(Pump and Dump) 작전이라고 부릅니다.



펌핑 작전의 주요 패턴과 사례

 

 


루머 허위 정보 유포 (Fake News)

 

작전세력은 SNS, 증권 게시판, 텔레그램 등을 활용하여 가짜 뉴스, 허위 정보를 퍼뜨려 특정 주식에 대한 기대감을 조성합니다.

 

실제 사례:

 

2018년 한국 증시 - 신라젠 사태

신라젠은 한때 바이오주로 엄청난 인기를 끌었으나, 

연구 성과에 대한 과장된 정보가 퍼지며 주가가 급등
작전세력이 기관과 개미 투자자를 끌어들인 후,

주가가 급락하며 많은 개미 투자자들이 큰 손실

 

 

 작전 방식:



"XX기업, 신기술 개발 성공!" 같은 루머를 퍼뜨림
개미 투자자들이 뛰어들며 거래량 폭증
작전세력은 고점에서 대량 매도
허위 정보가 밝혀지며 주가 급락

펌핑/덤핑


유명인(인플루언서) 이용


유명 증권 방송 출연자, 유튜버, SNS 인플루언서 등을 이용해 특정 주식을 추천하는 방식입니다.

 


실제 사례:


2021년 미국 - 'GameStop(GME) 사건'



미국 레딧(Reddit)의 주식 토론방 ‘월스트리트베츠(WSB)’에서 게임스탑(GME)을 집중 매수
일론 머스크도 트위터에서 "Gamestonk!!"라는 트윗을 남기며 주가가 폭등
일부 세력들은 이 흐름을 이용해 주식을 고점에서 매도하고 떠남

 


작전 방식:

인플루언서가 특정 주식 추천
소문이 퍼지며 투자자들이 몰림
주가 급등 후 작전세력은 고점에서 이탈
개미 투자자들만 피해

 

 


허위 매수 주문 (Spoofing & Layering)

 


작전세력은 대량 매수 주문을 넣었다가 

즉시 취소하는 방식으로, 

마치 주식이 강한 상승세를 보이는 것처럼 속이는 기법을 사용합니다.

 


실제 사례:

 

2010년대 미국 - 고빈다스 사하니(Govindas Sahani) 사건

특정 주식에 거대한 매수 주문을 걸어놓고, 

개미 투자자들이 따라오면 매수 주문을 취소한 후 고점에서 매도
이 같은 기법을 활용하여 수백만 달러 수익을 챙김


작전 방식:

대량 매수 주문으로 매수세가 강한 것처럼 보이게 만듦
투자자들이 몰려 주가가 상승
고점에서 기존 매수 주문을 취소하고 매도
주가는 급락하며 개미 투자자들 손실

 

 


상장폐지 전 ‘막판 펌핑’ (Exit Scam)

 


작전세력들은 상장폐지가 임박한 주식을 대상으로 

마지막 펌핑을 시도해 개미들을 유입한 후 사라지는 방식입니다.

 


실제 사례:


2020년 한국 - 코스닥 상장 폐지 종목 일부

일부 코스닥 기업들은 상장폐지를 앞두고 작전세력들이 마지막으로 주가를 끌어올려 개미들에게 떠넘김
이후 주가는 폭락하며 개미 투자자들 피해


작전 방식:

상장폐지 예정 주식에 작전세력 유입
짧은 기간 내 주가 2~3배 상승
작전세력이 매도 후 주가 폭락
개미들은 상장폐지와 함께 전액 손실

 

 

펌핑/덤핑


작전세력의 패턴 

 

 


펌핑 작전은 법적으로 시장 질서 교란 행위로 처벌 대상이지만

여전히 다양한 방식으로 시도됩니다.


투자자는 시세가 급등하는 종목에 무작정 뛰어들지 말고, 

거래량, 정보, 뉴스 등을 철저히 분석해야 합니다.

 

 


작전세력의 패턴 항상 주의

 

 

 

SNS, 유튜브, 커뮤니티에서 급등 예상 종목은 주의
특정 세력이 집중적으로 매수하는 패턴이 보이면 경계할 것
‘묻지 마 투자’는 절대 하지 말고 충분한 조사 후 투자할 것.

 

> 참고

 

 

바닥 밑에 지하실_출처 코주파

 

 

 

 '한 줄 문장이라도 도움이 되셨기를 진심으로 바랍니다'

 

 

 

 [주의] 본 콘텐츠는 정보 제공의 목적으로만 작성되었으며,

투자 권유를 위한 것이 아닙니다.

투자 결정은 본인의 판단과 책임 하에 신중하게 진행하시기 바랍니다.